전체
-
[시드니-뉴질랜드 여행] 시드니 동물원 방문! (Sydney Wild Life Zoo)세계 여행 2014. 3. 5. 08:00
[시드니-뉴질랜드 여행] 시드니 동물원 방문! (Sydney Wild Life Zoo) 2013년 11월에, 싱가폴 항공을 타고 인천-싱가폴-시드니-뉴질랜드 북섬-뉴질랜드 남섬-싱가폴-인천 까지, 북반구에서 남반구로 왕복 다녀오는 7박 10일 여행을 다녀왔습니다.[2박은 비행기에서...ㅠㅠ] 그 중 본격 여행 첫째날, 첫 코스로 시드니 수족관과 시드니 동물원을 방문했습니다. 시드니 Wild Life 동물원 호주에만 사는 신기한 생물들을 볼 수 있을 것 같아서 잔뜩 기대했습니다만,시드니 동물원은 기대보다는 작았습니다.^^; 우리나라의 에버랜드 동물원이나 대전 동물원 같은 규모는 아니예요.호주는 세계에서 손꼽힐 정도로 동물 보호단체의 활동이 활발한 곳이라 동물 보호를 위해 동물원을 크게 지을 수가 없다네요...
-
[시드니-뉴질랜드 여행] 시드니 수족관 방문!(Sydney Sea Life Aquarium)세계 여행 2014. 3. 4. 12:00
[시드니-뉴질랜드 여행] 시드니 수족관 방문! (Sydney Sea Life Aquarium) 2013년 11월에, 싱가폴 항공을 타고 인천-싱가폴-시드니-뉴질랜드 북섬-뉴질랜드 남섬-싱가폴-인천 까지, 북반구에서 남반구로 왕복 다녀오는 7박 10일 여행을 다녀왔습니다.[2박은 비행기에서...ㅠㅠ] 그 중 본격 여행 첫째날, 첫 코스로 시드니 수족관과 시드니 동물원을 방문했습니다. 코클 만을 쭉 따라 조성된 관광단지에 나란히 한 건물처럼 붙어있어서 보통 시드니를 방문할 때 묶어서 다녀오는 코스.생각보다 규모는 크지 않았는데, 수족관의 경우 같은 일행의 부산 분들이 부산에 있는 게 훨씬 크다고 자랑하시네요ㅎㅎ 동물원도 우리나라의 에버랜드 동물원이나 대전 동물원처럼 크진 않고 아담했는데,호주가 전 세계에서 ..
-
만만한 게 홍어좆? 무슨 뜻일까? 홍어 이야기잡지식/음식 이야기 2014. 3. 1. 08:00
만만한 게 홍어좆? 무슨 뜻일까? 홍어 이야기 언젠가 모 국회의원의 실언으로 유명해진 말이 있죠."만만한 게 홍어좆이라고, 국민이 홍어좆이냐?" 허구 많은 동물의 수컷 중 왜 하필 홍어는 불운하게도...... 그리 된 것인지, 사연을 풀어보겠습니다. 새끼 홍어는 이렇게나 귀엽습니다! 얼굴이 웃고 있어!! 바다의 음탕한 물고기, 홍어 홍어 수컷은 다른 가오리과 생선들처럼 생식기가 2개 있습니다.보통 물고기들이 교미를 할 때 암컷이 알을 낳고 거기에 수컷이 정액을 뿌리는데,홍어는 교미를 할 때 두 개의 대롱 모양 생식기를 암컷의 몸 속에 넣는 체내 사정으로 수정합니다. 이런 과정이 마치 포유류의 짝짓기, 나아가 사람의 성교와 비슷하고,그러다보니 낚시로 홍어를 낚으면 암수 한쌍이 붙어서(...) 나오는 경우도..
-
포테이토 칩은 누가 만들었을까?잡지식/음식 이야기 2014. 2. 28. 08:00
포테이토 칩은 누가 만들었을까? 감자칩의 개발자 이야기! 오늘날 미국인들이 즐겨 먹는 감자튀김(프렌치 프라이)와 포테이토 칩 중에서,감자튀김은 이름처럼 원조국가(?)가 어디인지 논란이 있지만 포테이토 칩은 확실히 미국이 원조입니다. 감자튀김은 1850년대에 미국에서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먹는 음식으로 자리잡고 있었는데,두껍게 썬 감자를 기름에 튀긴 후 포크로 찍어 먹는 방식의 이 음식에서 포테이토 칩이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감자칩 개발자는 괴짜 영감님! 뉴욕 근교에 위치한 작은 레스토랑을 운영하는 괴짜 영감님이 있었습니다. 이름은 조지 크럼(George Crum).흑인과 인디언의 혼혈이었던 그는 다혈질로 화를 잘 냈고 동시에 냉소적인 사람이었다는데요.손님이 음식에 대해 불평하면 그 다음에는 도저히 못 먹을..
-
랍스터는 왜 고급요리일까? 가난의 상징이었던 랍스터!잡지식/음식 이야기 2014. 2. 21. 12:25
랍스터는 왜 고급요리일까? 가난의 상징이었던 랍스터! "빵이 없으면 케이크를 먹으면 되잖아?"국민의 가난은 생각치 않은 마리 앙투아네트 왕비의 사치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유명한 말이죠.[실제로는 저렇지 않았고 프랑스 혁명 이후 혁명에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해 악녀 이미지를 덧씌웠다고는 합니다만...] 이와 비슷한 상황은 초기 개척시대 미국에서도 연출되었는데,몰려오는 이민자들에 비해 식량이 턱없이 부족하여 노예와 가난한 이민자들은 늘 굶주렸다고 합니다.그런 그들을 본 농장주 왈, "빵이 없으면 랍스터를 먹으면 되잖아?" 랍스터, 빵보다도 못한 가난의 상징 미국이 영국의 식민지였던 시절, 초기 정착지였던 메사추세츠 주의 한 농장에서 하인들이 파업을 했습니다.빵 대신 먹기 싫은 싸구려 음식만 식탁에 올라온다는 것..
-
노인 임플란트 건강보험 적용? 생색내기 정책!치과 이야기 2014. 2. 20. 18:00
노인 임플란트 건강보험 적용? 생색내기 정책! 만 75세 이상 노인의 임플란트 건강보험 적용 문제는 박근혜 대통령의 대선 공약 중 하나였습니다.당시에도 치과의사들은 저게 될 리가 있냐, 말도 안 된다, 해서도 안 된다 등 말이 많았는데,역시나 시행 시기만 결정해놓고 구체적인 시행 방안은 제대로 정해진 게 하나도 없나보군요-_-;출근하자마자 사람 열받게 만드는 기사가 있어 링크합니다. 노인 임플란트 건강보험 적용 방안 두고 복지부 고민 (링크) 기사 내용을 요약하자면, 대통령의 주요 지지층인 노인들에게 어필할 공약이니만큼 어쨌든 2014년부터 시행은 해야겠는데구체적인 방안은 제대로 정해진 게 없고 이렇게 할까 저렇게 할까 말이 많은 상태라는 겁니다. 주요 쟁점은 과연 몇 개까지 건강보험에서 보장해줄지, 어..
-
피자는 어떻게 전 세계에서 퍼졌을까? 피자 이야기!잡지식/음식 이야기 2014. 2. 20. 12:00
피자는 어떻게 전 세계에서 먹게 되었을까? 피자 이야기! 피자는 원래 이탈리아 음식이지만 실제 세계적으로 피자를 보급시킨 나라는 미국입니다.피자는 어떻게 만들어지고, 어떻게 전 세계인이 먹게 되었을까요? 역사적인, 피자의 발명! 피자를 처음 개발한 사람들은 페니키아, 그리스, 로마인들로 추정됩니다. 정확히 어느 지역인지 구분하는 것은 무의미하고,밀가루에 물을 섞어 반죽한 후 달궈진 돌에 얹어 굽는 기술을 개발한 사람들을 피자의 발명자들이라고 봅니다. 초기의 피자는 단순히 밀가루 반죽을 구운 빵으로 석기시대부터 존재했지만,빵 위에 토핑을 얹어먹는 형태는 기원전 6세기 무렵 페르시아 다리우스 황제 때부터라고 하네요.병사들이 장거리 행군을 하다 휴식을 취할 때 방패를 달궈 그 위에 빵을 굽고 치즈와 대추야자를..
-
축제나 파티 때 왜 샴페인을 터뜨릴까? 샴페인 이야기!잡지식/술 이야기 2014. 2. 20. 07:00
축제나 파티 때 왜 샴페인을 터뜨릴까? 샴페인 이야기! 축제 때 또는 파티를 열 때, 일상에서 축하할 일이 있을 때 샴페인을 터뜨리는 장면은 익숙합니다. 샴페인은 분류하자면 탄산 기포가 들어있는 포도주의 한 종류입니다. 하지만 왜 축제 때 샴페인을 마시는지 그 유래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습니다. 다만 기쁜 일이 있을 때 샴페인을 마신 역사는 꽤 오래 되었는데, 기록상으로는 서기 496년이 시작이라고 합니다. 샴페인, 국왕의 세례식에 사용된 술 현재 프랑스 상파뉴 지방의 중심지, 라임(Rheim)의 대주교였던 성 레미가 당시 프랑크 왕국의 국왕 클로비스를 기독교로 개종시켰는데, 국왕에게 세례를 하면서 샴페인을 사용했다고 합니다. 당시에는 종교적 이유로 수도원에서 포도주를 만들었는데, 클로비스 왕..